새 학기가 시작되는 3월은 부모와 함께 지내던 아이들이 학교나 유치원, 어린이집 등에 가면서 환경 변화를 겪게 되는 시기입니다. 이때 새로운 친구 관계나, 학습 등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심리적,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이로 인해 낯선 환경에서의 배변을 어려워하는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배변 활동의 어려움이 지속될 경우 변비나 치질 등의 질환이 발생할 수도 있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어린아이들에게서 나타나는 치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치질이란 무엇인가요?
한자로 치(痔)는 항문 주변에 생기는 질병을 뜻하는 단어로 치질이라는 말은 항문과 관련된 질병을 폭넓게 부르는 것으로 이해하면 되고 이 중에서도 보통 치핵을 의미합니다. 치질은 크게 치핵과 치열, 치루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① 치핵 : 항문 안쪽에 있는 점막이나 조직이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부풀어 오르거나 항문 밖으로 삐져나오는 질환으로 출혈이 유발되며 통증이나 가려움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② 치열 : 항문 내벽이나 피부 경제 부위가 찢어지면서 나타나는 질환으로 항문이 찢어짐으로 인해 배변 시 통증이 심하고 약간의 출혈을 보이기도 합니다.
③ 치루 : 항문 주위에 있는 조직에 고름이 생기고 주변으로 확산되는 질환으로 항문 주위의 피부 자극과 함께 불편함이나 통증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치질은 성인층에서는 치핵 증상을 가장 많이 나타나지만, 어린아이들의 경우 치열이나 항문 주변이 가려운 항문소양증이 많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2. 치질의 원인과 치료 방법은 무엇인가요?
치질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① 딱딱한 변을 볼 경우 항문에 직접적인 손상을 주기 때문에 주로 발생합니다.
② 변이 원활히 나오지 않아 과도하게 힘을 주는 경우 복압이 증가하면서 발생합니다.
③ 오랜 시간 동안 변기에 앉아있어도 치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④ 치루의 경우 항문 주변의 농양이나 염증을 제때 치료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만성화될 경우 나타납니다.
치질의 종류에 따라 증상이 다르기 때문에 치료 방법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① 치핵 : 비교적 증상이 가벼운 경우에는 소염진통제나 좌약 등과 같은 약물 사용과 함께 배변 습관 개선 및 식이요법 등을 시행합니다. 또한 치핵을 얼리거나 굳히는 등의 간단한 시술 등을 시행하기도 하는데,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치핵을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합니다.
② 치열 : 변 완화제를 복용하거나 식이요법과 좌욕 등의 보존적 치료 방법을 주로 사용하는데, 증상이 심하거나 만성화된 경우에는 괄약근 절개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③ 치루 : 치루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1차 병소를 제거해야 하고 그다음으로 생긴 구멍을 처리해야 하는데 보통은 치루 절제술이나 절개술과 같은 방법을 시행합니다.
3. 예방하기 위한 가이드
대장항문 학회에서 발표한 설문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 두 명 중의 한 명 꼴로 배변 시 스마트기기를 본다고 합니다.이로 인해 오랜 기간 동안 화장실에 머무르게 되는데 이는 항문 질환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므로 개선이 필요합니다.
① 배변 후에는 항문 주변을 물로 자주 씻어주고, 습하지 않게 잘 말려주어 항문 건강과 청결에 힘써주어야 합니다.
② 충분한 수분 섭취와 함께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해주면 변을 부드럽게 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③ 배변 시 오랫동안 앉는 습관을 고쳐야 하고 스마트기기 사용은 최대한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④ 배변 욕구가 있는 경우 참지 말고 바로바로 화장실에 가는 것이 좋습니다.
⑤ 쪼그려 앉기나 책상다리와 같은 습관은 항문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혈] 주요 증상과 원인 및 치료 방법, 예방에 좋은 음식 소개 (0) | 2023.07.27 |
---|---|
지방간 주요 증상과 원인, 치료 및 예방 방법 소개 (0) | 2023.07.14 |
[이명] 주요 증상과 원인, 치료 및 예방 방법 소개 (0) | 2023.07.06 |
[화상] 종류별 특징과 치료 방법 및 응급 처치법 소개 (0) | 2023.06.29 |
[구루병] 주요 증상과 원인, 치료 및 예방 방법 소개 (0) | 2023.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