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야뇨증이란 무엇인가요?
야뇨증이란 밤에 소변을 보는 것을 의미하는데, 5세 이상의 방광 기능 조절이 가능한 아이가 낮 동안에는 소변을 잘 가리다가 자는 도중 소변을 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5세 미만의 아이의 경우 방광을 조절하는 기능이 아직 불완전하므로 자는 동안 소변을 보는 현상은 흔히 발생합니다. 하지만 5세 이상의 아이일 경우 요도괄약근의 조절이 가능해지므로 5세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한 달에 2~3회 이상 자는 동안 소변을 보게되면 야뇨증으로 진단합니다.
야뇨증은 5세 이상의 아이에게서 약 15% 정도의 비율로 증상을 보이며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7~8세경에는 약 10% 비율로 증상을 보일 정도로 흔한 질환입니다. 자는 동안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증상 외에는 별다른 증상을 보이지는 않는 야뇨증은 케이스에 따라 구분합니다. 한 번도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경우를 일차성 야뇨증, 6개월 이상 소변을 가렸지만 다시 못 가리는 경우를 이차성 야뇨증이라고 합니다.
2. 원인과 치료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야뇨증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진 않았지만 보통 아래와 같이 보고 있습니다.
① 유전적 요인 : 야뇨증은 가족력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부모 모두 야뇨증을 앓았던 경우 아이의 약 77%가 발생하고, 한쪽만 앓았던 경우 약 44%가 발생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② 방광 기능 미성숙 : 아직 방광 기능이 성숙하게 발달하지 못한 경우로 잘 때 뿐만 아니라 낮에도 소변을 참지 못하고 옷에 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에는 방광 기능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증상이 완화됩니다.
③ 수면 중 각성장애 : 나이가 어리더라도 소변이 마려우면 보통 자다가도 중간에 깨기 마련인데, 야뇨증을 보이는 아이의 경우 이런 감각에 예민하지 않기 때문에 잠을 못 깨는 경우가 있습니다.
④ 복합적 요인 : 새로운 곳으로 이사를 가거나 동생이 새로 생기는 것처럼 환경적 혹은 정서적 요인으로 인해 야뇨증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비뇨기계의 특이 질환이 없는 경우 야뇨증은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호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자연적으로 호전이 가능하다고 해서 별도의 치료나 노력 없이 지나친다면 사회생활을 연습하는 시기의 아이들은 자신감이 떨어지거나 심리적 발달에 문제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부모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야뇨증의 치료는 크게 약물적 치료와 야뇨 경보기 착용이 있습니다.
① 약물적 치료 : 항이뇨제를 복용함으로써 밤에 생성되는 소변의 양을 줄여줍니다. 몇개월간 복용한 후 야뇨증 증상이 사라지면 약을 끊어 줍니다. 보통 70% 정도의 효과를 보이긴 하지만 재발률도 약 50%에 달하므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② 야뇨 경보기 착용 : 경보장치가 달린 패드를 팬티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패드가 소변에 젖게 되면 경보가 울려 잠에서 깨어나도록 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소변을 싼 이후에 팬티에서 느껴지는 감각을 일깨워줌으로써 이런 상황을 반복시켜 주면 아이가 자다가도 소변이 마려울 경우 일어나게 됩니다.
3. 야뇨증 예방에 좋은 음식 및 생활 가이드 소개
칼슘은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중요한 성분이므로 칼슘이 많이 함유된 제품을 섭취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칼슘 영양제나 우유, 치즈와 같은 유제품, 그리고 멸치, 시금치, 콩 등을 자주 섭취해주면 야뇨증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반대로 카페인이 든 탄산음료는 소변을 만드는 이뇨 작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과 너무 찬 음식 등은 불규칙한 배변 활동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피해주고 잠들기 1~2시간 전부터는 가급적 과한 수분 섭취는 지양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엇보다도 아이를 대하는 부모의 태도가 중요합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야뇨증으로 인해 자신감이나 수치심, 열등감 등과 같은 부정적인 심리 상태를 갖게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야뇨증 증상을 보인다고 하더라도 심리적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야단을 치거나 혼내는 행위는 자제해야 하며 정서적 안정감을 찾을 수 있게 잘 토닥여주고 위로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이가 실수하지 않은 날에는 자신감을 불어넣어 주기 위해 충분한 칭찬과 격려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아 성장통 / 류마티스 관절염] 주요 증상과 치료 방법 및 관절 관리 방법 (0) | 2022.12.28 |
---|---|
[어린이 난독증] 주요 증상과 검사 및 치료 방법, 아이 교육 방법 소개 (0) | 2022.12.26 |
[신생아 배꼽 육아종] 주요 특징과 원인, 치료 및 예방 방법 소개 (신생아 목욕 방법) (0) | 2022.12.22 |
[신생아 패혈증] 주요 증상과 원인, 치료 및 예방 방법 소개 (0) | 2022.12.21 |
[소아 역류성 식도염] 주요 증상과 원인, 치료 방법 및 예방에 좋은 음식 소개 (0) | 2022.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