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역류성 식도염이란 무엇인가요?
역류성 식도염은 한국인에게 가장 많이 발병하는 위장병으로 위내시경을 받은 검진자 중 약 8%에 해당 질환이 나타날 만큼 흔한 질병이며 최근에는 어린아이들에게도 많이 발병하고 있다고 합니다.
음식물을 섭취했을 때 위까지 전달하는 통로를 식도라고 하는데, 위에 있는 내용물 혹은 위산이 식도를 통해 역류하면서 나타나는 염증을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합니다. 식도에는 위로 내려간 음식물이 다시 식도로 올라오지 못하게 조임쇠 역할을 해주는 하부식도괄약근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하부식도괄약근이 제 역할을 못 하고 잘 조여지지 않게 될 경우 역류성 식도염이 발생하게 됩니다.
역류성 식도염을 앓게 되면 가슴이 쓰리거나 답답함, 그리고 흉골 뒤쪽이 뜨거운 느낌 등을 받게 되는데 식도로 역류한 내용물이 식도 점막과 접촉하는 순간 느껴지며 보통 식후 약 30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납니다. 특히 역류성 식도염 증상이 오랫동안 지속되면 궤양이 생길 수 있고, 이에 따라 식도가 좁아지는 식도협착증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또한 천식이나 철 결핍성 빈혈, 성장 장애와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진단과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위내시경이 필요하지만, 어린아이들은 내시경 검사를 하기 어렵기도 하고 검사를 하더라도 염증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검사를 통해 진단하기 어려운 경우 아래와 같은 증상을 보인다면 역류성 식도염을 의심해봐야 하고 병원에 진료받는 것이 좋습니다.
① 하루에 2~3회 정도 구토하거나 진갈색의 구토하는 증상
② 음식을 먹은 이후에 윗배에 불편함을 느끼거나 아프다고 하는 경우
③ 음식을 먹을 때 사레에 자주 걸리고 먹은 이후 딸꾹질을 자주 하는 경우
④ 신생아의 경우 젖병을 물리면 몸을 비틀거나 젖병을 피하려는 행동
이러한 역류성 식도염은 불규칙한 식습관과 자극적이거나 고열량의 음식을 많이 섭취할 때 많이 발생합니다. 특히 비만인 아이들 대상으로 약 10~20% 정도가 식도염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복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하부식도괄약근이 느슨해져 위산이 역류하기 쉬운 환경을 조성한다고 합니다.
2022.11.04 - [소아 질환] - [소아 비만] 우리 아이 비만, 이렇게 관리 해주세요.
3. 치료 방법 및 예방에 좋은 음식 소개
역류성 식도염을 치료하기 위해 위산 분비 억제제를 투여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위산이 아닌 공기와 같은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에는 약물 치료를 하더라도 100% 치료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을 유발하는 원인을 명확히 찾아 교정이 필요하며 무엇보다도 아침을 거르거나 늦은 밤에 야식을 먹는 등의 식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특히 잠들기 3시간 전에 먹는 음식은 역류성 식도염의 발병 확률을 높이므로 음식물 섭취를 제한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가정 내 구성원 모두가 규칙적인 시간에 맞춰 식사하는 생활 패턴을 갖춰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역류성 식도염 예방에 좋은 음식을 평소 자주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① 양배추 : 양배추에는 위장 기능에 도움을 주는 비타민U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 비타민U는 위장의 점막을 보호해주고 위장 장애나 손상 등을 회복시켜주는 효과를 갖고 있습니다. 또한 위산이 과다하게 역류하면 식도에 상처가 생길 수 있는데 이때 도움을 주는 비타민K도 많이 들어있어 평소에 양배추를 많이 섭취하는 것은 위장 기능에 도움을 줍니다.
② 브로콜리 : 브로콜리 역시 양배추와 마찬가지로 비타민U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또한 식이섬유도 많이 함유되어 있어 대장 운동을 원활히 이루어지게 도움을 줍니다.
③ 알로에 : 알로에는 역류성 식도염 증상 있을 때 염증을 완화해주는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식사 이전에 알로에 주스를 섭취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④ 바나나 : 산도가 낮고 자극이 거의 없어 속이 쓰린 증상을 보일 때 먹으면 통증 완화에 도움을 줍니다.
'건강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배꼽 육아종] 주요 특징과 원인, 치료 및 예방 방법 소개 (신생아 목욕 방법) (0) | 2022.12.22 |
---|---|
[신생아 패혈증] 주요 증상과 원인, 치료 및 예방 방법 소개 (0) | 2022.12.21 |
[구순염 / 구순포진] 주요 특징과 증상, 치료 및 예방 방법 소개 (0) | 2022.12.18 |
[백일해] 주요 증상과 원인 및 치료 방법, 그리고 예방 접종 소개 (0) | 2022.12.15 |
[황달] 황달 수치 및 증상과 원인, 그리고 치료 방법과 예방에 좋은 음식 소개 (0) | 2022.1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