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혈관종이란 무엇인가요?
혈관종이란 많은 혈관이 발달할 때 발생하는 양성종양으로 모세혈관 그물이 정상적인 혈관으로 발전하지 못할 때 생기는 것을 얘기합니다. 다시 말해 혈관 조직이 뭉치면서 생겨난 혹으로 이해하면 되는데 유아기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종양입니다. 이 종양은 피부 어디에서나 나타날 수 있지만 머리나 목, 몸통 쪽에서 많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이며 피부 표면에 붉은색을 띠며 나타나기 때문에 딸기 혈관종 혹은 딸기점 이라고도 불립니다.
혈관종이 빠르게 나타날 경우 보통 생후 1~3개월 사이에 발생하고 생후 3개월이 지나면 전체 크기의 약 80% 수준으로, 5개월이 지나면 대부분의 혈관종은 성장이 끝나는 경향을 보입니다. 대개 10세 이전에는 자연적으로 사라지는 경우가 많지만, 약 10~15% 정도는 폐색, 궤양 같은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눈 주변으로 발생하는 혈관종은 각막 질환이나 눈이 돌출되는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보일 수 있고 흉터의 발생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혈관종이 발견될 경우 초기에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2. 혈관종의 종류와 치료 방법 소개
혈관종은 크게 세 가지 종류로 해면상 혈관종, 단순성 혈관종, 체리 혈관종으로 구분합니다.
① 해면상 혈관종 : 앞서 설명한 것처럼 딸기 혈관종으로도 불리며 유아기에 가장 흔히 발생하는 종류의 혈관종입니다.
② 단순성 혈관종 : 혈관종의 모양이 포도주를 떨어뜨린 것처럼 보여 포도주양 혈관종이라고도 불립니다. 이마나 목 주위에 생긴 것은 대부분 자연스럽게 사라지는 경향을 보이지만 그 외의 부위에는 없어지지 않습니다.
③ 체리 혈관종 : 체리 색깔처럼 돌출된 반점으로 작은 모세혈관이 피부 아래쪽에 결합하면서 생기는 혈관종입니다.
치료 시기는 혈관종의 종류 및 크기,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대부분의 혈관종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사라지므로 얼굴 이외의 부위는 경과를 지켜보는데, 얼굴 쪽 부위에 발생하거나 합병증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보통 내과적 치료를 우선으로 시행하고 증상의 진행도나 심각성을 고려했을 때 외과적 치료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① 약물 치료 : 피부 질환 치료제인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 데 효과가 있을 경우 10일 이내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② 경화요법 : 혈관종이 증식하여 커지는 것을 막거나 빨리 퇴행을 시키고자 할 때 피부를 통하여 경화제를 주사합니다. 경화제를 주사하면 내피세포에 손상을 유발하여 혈관이 폐쇄되게 됩니다.
③ 외과적 절제 : 내과적인 치료 방법만으로 호전이 되지 않는 경우이거나 중요 기능에 지장을 줄 수 있는 혈관종의 경우 외과적으로 절제하는 것을 시행합니다.
④ 기타 : 물리적으로 압박하는 압박요법이나 냉동요법 등을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3. 혈관종이 보일 경우 대처 방안 소개
혈관종은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질환이다 보니 사전에 예방하기는 어렵습니다. 자연적으로 증상이 사라질 때까지 경과를 지켜보면서 가정 내에서는 아래와 같이 대처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① 혈관종 부위를 자주 긁게 되면 출혈이나 궤양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들이 긁지 않도록 관리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② 환부에 직접적으로 태양 빛이 닿지 않도록 해주며 외출하게 될 경우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해 주고 너무 건조해지지 않도록 관리를 해주어야 합니다.
③ 혈관종 부위에 출혈이 발생할 경우 깨끗한 천을 사용하여 출혈을 멈추게 하며 출혈이 지속되면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④ 궤양 같은 합병증이 발생하면 반드시 병원 방문을 통해 치료받아야 합니다. 이 경우 따뜻한 물로 환부를 정기적으로 세척해주고 자연 건조를 해줍니다.
'건강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래끼 / 결막염] 증상과 치료 및 예방 방법, 주의사항 소개 (0) | 2022.12.08 |
---|---|
[결핵] 증상과 진단 검사 및 치료 방법, 그리고 예방 방법 소개 (0) | 2022.12.07 |
[각변형 (오다리 / 휜다리)] 주요 특징과 원인, 치료 및 예방 방법, 교정 소개 (0) | 2022.12.05 |
[소아 약시] 주요 증상과 종류별 특징, 치료 방법 소개 (0) | 2022.12.02 |
[소아 당뇨병] 주요 증상과 치료 방법, 예방에 좋은 음식 소개 (0) | 2022.1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