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이야기

[소아 당뇨병] 주요 증상과 치료 방법, 예방에 좋은 음식 소개

by 달려감동 2022. 12. 1.

1. 소아 당뇨병은 무엇인가요?

당뇨병은 체내의 인슐린 부족으로 인해 포도당 이용이 줄어들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대사가 장애를 유발하는 질환으로 성인과 소아 당뇨병으로 나뉩니다. 성인 층에서는 주로 비만으로 인한 인슐린 부족으로 발생하며, 소아 층에서는 랑게르한스섬 베타세포의 문제로 인해 인슐린 부족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1형 당뇨병이라고 합니다. 최근에는 소아 층에서도 비만이 증가하면서 당뇨병을 보이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데 이를 2형 당뇨병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15세 미만에서 발생하는 당뇨병을 소아 당뇨병이라고 부르는데, 전체 인구에서 약 5%가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그 중 약 2%가 15세 미만에서 나타나는 소아 당뇨병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인슐린이 부족해지면 혈당이 정상적으로 작용하지 않아 포도당 이용이 줄어들게 됩니다. 포도당은 체내 에너지원 역할을 하는데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지 않고 대부분 손실이 되기 때문에 체내의 에너지가 부족해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럴 경우 목이 말라 물을 자주 마시는 다갈(多渴), 음식 섭취가 늘어나는 다식(多食), 소변을 자주 보는 다뇨(多尿)와 같은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음식을 충분히 섭취하지만 체중이 줄어들고 심할 경우 탈수상태까지 이를 수 있으며 복통과 구토, 신장 장애 등의 증상도 보일 수 있습니다.

2. 원인과 치료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소아 당뇨병의 원인은 종류에 따라 차이가 일부 있는데, 1형 당뇨병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베타세포의 문제로 인한 인슐린 부족의 결과를 주요하게 보고 있습니다. 2형 당뇨병은 보통 인슐린에 반응을 일으키는 세포들이 저항성을 보이면서 생기게 됩니다.

치료 방법은 당뇨병의 종류와 연령대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① 1형 당뇨병 : 기본적으로 인슐린 투여가 필요합니다. 인슐린 투여와 관련하여 실제 환아나 부모가 습득해야 할 부분이 많기 때문에 전문의에게 적절한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운동과 함께 식단 관리나 생활 습관도 병행이 되어야 하지만 제일 중요한 점은 인슐린을 맞혀야 하는 부분입니다. 최근 들어서는 인슐린 펌프나 혈당 측정기 등을 통해 혈당을 조금 더 쉽게 관리할 수도 있습니다.

② 2형 당뇨병 : 운동, 식습관, 생활 습관의 관리가 기본적으로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 약물을 투여하기도 합니다. 주기적인 병원 방문을 통한 진료 및 당뇨병 관리와 관련된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3. 식단 관리와 운동은 필수입니다.

당뇨병은 무엇보다도 균형 잡힌 식단 관리가 중요한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균형을 잘 맞추어 적당한 혈당 수치를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매일 일정한 시간대에 삼시세끼를 규칙적으로 식사해야 인슐린 기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고 끼니를 건너거나 한 번에 과식을 하는 것은 지양해야 합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주식으로 섭취하는 탄수화물의 경우 꼼꼼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탄수화물을 섭취하면 체내에서 포도당으로 전환하게 되는데 이때 포도당이 혈류로 들어가게 되므로 혈당 수치가 올라가게 됩니다. 그러므로 아이가 섭취하는 식단에 탄수화물이 얼마나 들어가는지를 점검하고 관리해주어야 합니다.

① 당뇨에 좋은 음식 : 현미나 잡곡, 느타리버섯 등의 혈당을 낮춰주는 음식을 주로 섭취해주고 섬유질이 풍부한 채소 섭취량을 늘려 올바른 영양소를 배분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② 당뇨에 안 좋은 음식 : 탄수화물이 높은 음식(떡, 빵, 과장 등)과 단맛이 강한 음식(설탕, 케이크, 카라멜) 등은 최대한 줄여야 하며 과다한 소금이나 기름이 들어있는 음식도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의 경우 제대로 음식을 섭취하지 않으면 성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전문 영양사의 교육 및 상담을 통해 올바른 식단으로 골고루 영양소를 공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 관리도 중요합니다. 그중에서도 유산소 운동은 체내의 포도당을 사용하게 만들기 때문에 빠른 걸음의 걷기나 조깅, 자전거 타기 등의 운동을 30분 이상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공복에는 저혈당이 올 수도 있으니 식후 운동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