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이야기

[소아 사시] 종류와 진단, 치료 방법 및 예방하기 위한 생활 가이드

by 달려감동 2022. 11. 15.

1. 사시의 종류는 어떻게 될까요?

사시는 어떤 대상을 바라볼 때 한쪽 눈의 시선은 해당 대상을 향해 있지만 반대쪽 눈은 그렇지 못한 경우를 말하며, 한쪽 눈이나 두 눈이 교대로 서로 다른 곳을 쳐다보는 현상을 보입니다. 안과 질환 중에서 사시는 성인보다 소아기에 주로 발견이 되는데, 전체 소아 중 2~4%에서 사시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사시는 종류가 다양한 만큼 그 원인도 다양하고 대부분은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사시의 종류는 정면을 주시하지 못하는 방향에 따라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① 내사시 : 눈의 초점이 안쪽(코 쪽)으로 치우치는 경우
② 외사시 : 눈의 초점이 바깥쪽(귀 쪽)으로 치우치는 경우
③ 상사시 : 눈의 초점이 위쪽(눈썹 쪽)으로 치우치는 경우
④ 하사시 : 눈의 초점이 아래쪽(인중 쪽)으로 치우치는 경우

이 중 가까운 것을 볼 때는 눈이 같은 것을 보지만 먼 곳을 볼 때는 눈이 바깥쪽으로 돌아가는 간헐적인 외사시가 소아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이러한 사시는 시력 발달에 방해를 주어 최종 시력이 낮아지고 약시나 사물이 입체감으로 보여지는 문제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2. 사시는 어떻게 진단할 수 있을까요?

기본적으로 두 눈의 시선이 서로 다른 방향을 가리킬 때 사시를 의심할 수 있는데 더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검사를 실시합니다.


① 문진 점검 : 사물이 언제 어떻게 보이는지를 확인해야 하고 진행 속도가 어떤지, 치우치는 눈이 한쪽 혹은 교대로 발생하는지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② 시력 검사 : 두 눈의 시력을 측정하고 비교합니다.


③ 시진(육안 검사) : 사시가 한 눈인지 혹은 교대성인지 등을 확인하고 어느 쪽이 우세안인지도 점검합니다.


④ 한눈/두눈 주시검사 : 한쪽 눈을 가리고 다른 눈에 작은 광점을 주시시키는 것과 두 눈에 모두 작은 광점을 주시시켜 각만 반사의 위치를 검사합니다. 각막반사가 동공 중앙에 있어 미동이 없으면 주시 능력은 정상으로 보고 동공 중앙에 있지 않을 경우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합니다.


⑤ 사시각 측정 : 작은 광점을 근거리와 원거리에서 정면뿐 아니라 6개의 주시 방향에서 검사하는 가림검사를 통해 눈이 돌아가는 정도인 사시각을 측정합니다. 


⑥ 기타 : 한쪽 눈과 두 눈의 운동 상태를 점검하는 단안/양안 운동검사와 눈 모음 검사, 감각기능 검사 등이 있습니다.

3. 치료 방법과 예방하기 위한 생활 가이드

보통 시력은 만 6~8세까지 발달을 많이 하므로 시력 완성이 되기 전인 만 3~6세 때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시 치료는 크게 비수술 치료와 수술 치료가 있습니다. 비수술 치료는 안경을 통한 교정, 약물요법 등이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수술을 통한 치료를 많이 시행합니다.

① 선천성 내사시 : 태어날 때부터 결함이 있는 것으로 만 2세 전에 수술을 해줘야 하는데, 그 이후 수술을 하게 되면 시력 회복에 대한 예후가 좋지 않은 케이스가 많습니다. 선천성 내사시의 경우에는 생후 4~5개월 이후부터는 수술이 가능합니다.


② 후천성 내사시 : 태어날 때는 정상이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눈이 몰리는 후천성 내사시의 경우 고도의 원시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원시 안경(돋보기안경)을 통해 치료를 진행하고, 안경으로 치료가 안 될 경우 수술 치료를 시행합니다.


③ 간헐성 외사시 : 사시의 진행이 드물게 멈추면서 잠복성으로 바뀌어 사시 횟수가 감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사시각은 줄어들지 않고 성장 과정에서 질병이 다시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정기적인 관찰 및 진료를 통해 수술 시기를 결정합니다.

요즘같이 비대면 교육의 확대와 함께 스마트 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의 사용 증가로 인해 눈 건강은 더 악화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며 관리해야 합니다. 전자기기는 30분 단위로 시청 후 10분 정도는 눈 휴식을 취해주고 약 3m 가량의 거리를 두고 시청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눈 건강에 도움을 주는 채소, 과일 등을 충분히 섭취해주고 충분한 숙면을 취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