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응급처치의 중요성
응급처치는 생각지도 못한 순간 발생한 외상이나 질환에 대해 신속하게 최소한의 치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응급처치를 하는 것만으로도 환자의 고통을 줄이거나 위독한 상황을 순간적으로 안정화하는데 있어 상당히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소아의 경우 호기심이 매우 높지만, 자기를 통제하는 능력이나 신체 조절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그 위험도가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고를 일으킬 만한 위험요인들을 사전에 제거하고 예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혹시라도 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대처하는 방법도 미리 숙지해 놓는 것 역시 필요합니다. 오늘은 무엇보다도 초기 대처가 굉장히 중요한 심폐소생술과 하임리히 요법에 대해 소개하려 합니다.
2. 심폐소생술 소개
심폐소생술은 심장 박동이 멈추는 심정지 환자에게 심장 활동을 다시 회복시키기 위해 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합니다. 심장마비가 발생한 후 4~6분이 지나면 뇌에 혈액 공급이 되지 않기 때문에 급격한 뇌 손상이 진행되며, 혈액 공급이 되지 않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뇌 손상이 악화되기 때문에 식물인간 혹은 사망에 이를 수 있게 됩니다. 심폐소생술은 물리적으로 심장과 뇌에 혈액을 공급시켜주는 처치 방법으로 골든타임을 놓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중요한 응급처치술입니다.
심폐소생술은 총 6단계로 시행합니다.
① 확인 : 환자의 어깨를 두드리며 반응을 확인합니다.
② 신고 : 이상이 감지되면 우선 119에 신고하고 환자의 호흡 상태를 확인합니다.
③ 압박 : 바르게 눕혀놓은 상태에서 분당 100~120회 횟수로 빠르게 압박을 해줍니다.
④ 호흡 :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올려 기도를 확보한 다음 약 2회 정도 인공호흡을 실시합니다.
⑤ 반복 : 구급대원이 도착하기 전까지 압박과 호흡을 반복해 줍니다.
여기서 소아의 경우 성인에 비해 신체 조건이 약하기 때문에 압박 방식이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
① 만 1세 이하 : 손가락 2~3마디를 이용하여 젖꼭지 사이 정중앙의 아래를 4cm 깊이로 분당 100~120회 압박해 줍니다.
② 만 1세~8세 : 손꿈치 1~2개를 이용하여 가슴뼈 아래 1/2 지점을 4~5cm 깊이로 분당 100~120회 압박해 줍니다.
순간 당황해서 응급처치를 제대로 해주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 경우 구급대원이 도착하기 전까지 영상통화를 통해 응급처치술을 알려주기도 하니 가이드에 따라 처치를 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3. 하임리히 요법 소개
하임리히 요법은 음식 등이 목에 걸려 기도가 막힐 경우 질식 상태에 빠지게 되는데 이때 행하는 응급처치법으로 최초 창시자인 헨리 하임리히 박사의 이름을 따왔습니다. 이는 질식 상태에 빠진 환자를 뒤에서 세워 안은 후 양팔을 갈비뼈 밑 쪽에 두른 다음 배꼽 위 부위를 양손으로 당겨주는 행위를 몇차례 동안 실시하는 방법입니다. 음식으로 인해 기도가 막혔다고 생각이 될 경우 우선 말을 시켜 말을 할 수 있는지 혹은 기침 등을 통해 숨을 쉴 수 있는 상태인지부터 파악합니다. 말을 하지 못하거나 숨이 안 쉬어진다고 판단이 되면 즉시 하임리히 요법을 통해 기도에 막힌 음식을 빼줘야 합니다.
이러한 기도가 막혀 질식하는 상황은 음식을 급하게 먹거나 할 경우에 많이 발생하는데, 어린아이일수록 음식을 급히 먹는 경우가 많이 있으므로 평소에 잘 숙지를 해놓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나이가 어린 아이일수록 성인에 비해 신체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앞서 말한 방법을 할 경우 내부 장기 손상에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머리를 아래로 향하게 한 뒤 한 손으로 가슴을 받쳐주고 등을 너무 세지 않은 강도로 여러 번 때려줍니다. 만약 이렇게 해도 효과가 없을 경우 두 손가락으로 흉골 부위를 찾아 가볍게 충격을 여러 번 주는 것도 방법입니다.
목 안의 음식물이 제대로 빠졌는지를 반드시 확인해주고 혹시 이물질이 남아있다면 손가락을 이용해 꺼내주는 것이 좋고
음식물을 꺼냈음에도 불구하고 호흡이 제대로 돌아오지 않는다면 인공호흡을 통해 처치를 해줍니다. 기본적인 응급처치를 마친 이후에는 가까운 병원으로 옮겨 다시 한번 처치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식] 주요 증상과 원인, 그리고 치료 방법 및 예방 방법 소개 (0) | 2022.11.25 |
---|---|
[충치 (치아 우식증)] 발생 원인과 치료 및 예방 방법 소개 (0) | 2022.11.24 |
[소아 뇌전증 (간질)] 주요 증상 및 원인과 치료 방법, 생활 가이드 소개 (0) | 2022.11.22 |
[RSV (호흡기세포융합 바이러스)] 주요 특징과 치료, 그리고 예방 방법 소개 (0) | 2022.11.21 |
[돌발진 (돌치레)] 주요 증상과 대처 및 예방 방법 소개 (0) | 2022.11.19 |
댓글